전체 글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4(커밋 되돌리기, reset, revert) 깃& 깃헙 배우기 시리즈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이전 포스팅을 차례로 확인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02/14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1 2021/02/15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2(깃 저장소 만들기) 2021/02/16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3(커밋 확인 및 버전 관리) 포스팅 개요. 지난 포스팅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스테이징 및 커밋 방법에 대해서 익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정한 내용을 취소하고, 가장 최신 버전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3(커밋 확인 및 버전 관리) 깃& 깃헙 배우기 시리즈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이전 포스팅을 차례로 확인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02/14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1 2021/02/15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2(깃 저장소 만들기) 포스팅 개요. 지난 포스팅에서 작업트리에서 스테이징을 하고, 커밋하는 과정까지 다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커밋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과 스테이징과 커밋과정에서의 파일 상태 확인 방법, 일부 파일을 버전 관리에서 제외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번 포스팅에서 작성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앞서 실습을 진행할 예정..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2(깃 저장소 만들기) 깃& 깃헙 배우기 시리즈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이전 포스팅을 차례로 확인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02/14 - [Computer Science/Git,Github] -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1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을 사용해 깃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익혀보고자 합니다. 먼저 터미널이나 Git Bash 창을 켜주세요. 먼저 git이라는 폴더 내에 아무것도 파일이나 폴더도 없는 상태에서 mkdir example-git을 입력해줍니다. mkdir은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고, 뒤에 따라오는 example-git은 폴더명을 의미합니다. mkdir example-git 이후 cd example-git 명령어를 이용해 example-git 폴더 내로 이동합니.. 깃(Git)&깃허브(Github) 배우기 -1 그래도 조금(?)은 사용할 줄은 알지만, 사용에 미숙한 깃 사용에 대해 잘 익히고자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첫번째로 Git과 Github에 대해 간단히 소개합니다. 코딩을 하다보면, git, github 등등.. git을 포함하는 여러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깃이 무엇인가에 대해 구글링을 해보면 역사부터 시작해.. 정말 많은 설명이 나옵니다만, 깃을 입문하기 위한 사용자 입장에서 깃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분산 관리 시스템라고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깃이 제공하는 핵심 기능은 크게 '버전 관리', '백업', '협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깃은 어떤 문서를 언제 수정했고, 변경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2. 백업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중 깃 .. 스파르타 코딩 딥러닝 1기 회고(Retrospective) 스파르타 코딩 클럽에서 들었던 딥러닝 강의에 대해 간단히 리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계기. 유튜브에서 빵형의 개발도상국 이라는 채널을 자주 찾아보고, 재밌는 프로젝트라거나 아이디어를 많이 얻어 가던 도중 직접 스파르타 코딩클럽의 강사로 프로젝트 진행을 돕는다는 홍보를 듣게 되었습니다. 사실 유튜브에 올라온 많은 영상들을 보면서 코드를 미리 따라쳐보면서 간간히 설명도 들을 수 있었고, 직접적으로 이메일로 질문을 하고 도움을 받은 적도 있었던터라 묻지마 결제를 진행하였습니다. 딥러닝 모델 학습과 관련해서는 github에 올라온 코드를 보고 충분히 이해가 가능한 상태였지만, 그간 기초를 다지는데 도움을 받았던 빵형께 감사한 마음도 있었고, 딥러닝에 대해 배운다기보다는 강사님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모델을 .. 알고리즘 문제 풀이 53번 : K진수 출력(stack) 목차 문항 분석 Code 결과 및 분석 문항 분석 10진수 N이 입력이 되었을 때, 이를 K진수로 변환해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접근 방법 : N을 입력 받았다고 했을 때, K로 나눈 나머지를 차례로 기록해 역순으로 출력하면 된다. N%K 연산을 진행할 때마다 값을 스택 구조를 활용해 차례대로 저장한 후, top부터 역순으로 출력하면 된다. 이를 저장하기 위해 입력 범위를 담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진 스택을 구성했다. 스택 구조를 간단히 도식화한 그림은 다음과 같다. Code // // 53_k진수 출력.cpp // Algorithm // // Created by WANKI KIM on 2021/01/14. //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알고리즘 문제 풀이 51번 : 영지(territory)선택:(large) 목차 문항 분석 Code 결과 및 분석 문항 분석 기존의 방법의 문제를 개선했다. 같은 문항 50번 문항에서 2차원 배열 내 일부 배열의 합을 구하기 위해서 4중 for문을 사용했다. 위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지만, for문의 반복 횟수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실제로 2차원 배열의 크기를 키울수록 반복횟수는 훨씬 많이 증가하는 문제를 보였다. 소위 Dynamic Programming 라고 부르는 방법을 for문의 반복 횟수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채택함. Code // // 51_territory(large).cpp // Algorithm // // Created by WANKI KIM on 2021/01/14. // // TODO: 사각형 격자로 이뤄진 땅에서 가장 많은 오렌지 나무가 심.. 알고리즘 문제 풀이 50번 : 영지(territory)선택:(small) 목차 문항 분석 Code 결과 및 분석 문항 분석 전체 땅에서 주어지는 최대의 오렌지나무가 포함되는 지역 선택하기. 문제 진행 : 먼저 입력 받은 크기의 2차원 배열을 할당 받고, 각 공간에 값을 할당 받는다. for문을 돌며 각 공간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는 영지의 크기를 바탕으로 순회하며, 최대 개수인 곳이 좌표를 저장하고, 최대 개수를 저장한다. 최대 개수를 출력.(좌표는 필요 없음.) Code // // 50_territory(small).cpp // Algorithm // // Created by WANKI KIM on 2021/01/13. // #include using namespace std; struct point{ int x; int y; }; int main() { int h,w; c..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